君子有九思하니
- 군자는
아홉가지 생각이
있으니 視思明하며
- 볼때는
밝게 보기를
생각하고 聽思聰하며
- 들을때는
총명하게 듣기를
생각하고 色思溫하며
- 얼굴빛은
온화함을 생각하고 貌思恭하며
- 모습은
공손함을 생각하고 言思忠하며
- 말은 진실함을
생각하고 事思敬하며
- 일은 공경함을
생각하며 疑思問하며
- 의심스러우면
물을것을 생각하고 忿思難하며
- 성이 나면 나중에
닥칠 환란을
생각하며 見得思義니라 - 이익얻는
것을 보면 의를 생각해야한다. 君子는 行動에
앞서서 깊이 생각해야 할
것 아홉 가지 條目이 있으니 1. 視思明(시사명) : 事物이나
現像을 보거나 認識할 때는
明確하게 보아야 할 것을
생각해야 하며, 2. 聽思聰(청사총) : 남의
말이나 世上事를 들을 적에는
聰明하게 들어야 할 것을
생각해야 하며, 3. 色思溫(색사온) : 對人關係에
있어서 속에 들어 있는 것을
나타내는 表情은 溫和하게
할 것을 생각해야
하며, 4. 貌思恭(모사공) : 自己의 容貌와 態度는
恒常恭遜하게 해야겠다는
것을 생각해야 하며, 5. 言思忠(언사충) : 말을
할 때는 眞實하고 實踐 가능한
말만해야겠다는 것을 생각해야
하며, 6. 事思敬(사사경) : 行動을
할 적에는 남을 높이고 모든
일을 바르게 해야 할 것을
생각해야 하며, 7. 疑思問(의사문) : 疑問이나
疑心나는 일이 있으면 언제든지
물을 것을 생각해야 하며, 8. 忿思難(분사난) : 忿한
일이 있을 적에는 더 큰 어려움이
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하며, 9. 見得思義(견득사의) : 利得을 取할 수
있는 일이 있거든 取하는
것이 옳은지 옳지 않은지를
생각해야
한다. 논어, 위령공(衛靈公)편 |
君子有九思 좋은 글 ♣ 논어, 위령공(衛靈公)편 ♣
2012 Copyright CK Yu 카페Blo